통계용어사전
데이터의 언어를 다시 읽는다.
이 시리즈는 단순한 정의집이 아니라, 개념과 개념 사이의 연결을 탐구한다.
숫자와 모델, 지표와 정책을 잇는 보이지 않는 구조 —
그 속에서 ‘통계’는 계산이 아니라 해석의 기술이 된다.
각 용어는 하나의 노드이자, 더 큰 지식망의 일부다.
‘가격결정’에서 ‘시장균형’으로, ‘표본오차’에서 ‘정책효과’로 이어지는 흐름 속에서
우리는 데이터가 세상을 설명하는 방식을 새롭게 짚어본다.
《통계용어사전》은 지식의 조각을 잇고, 의미의 구조를 그린다.
수치 뒤에 숨은 사고의 체계를 — 천천히, 그러나 정밀하게 추적한다.
가계 순저축률이란?
가계 순저축률 (Household Net Saving Rate) 가계 순저축률은 가계가 벌어들인 처분가능소득 중 얼마를 소비하지 않고 저축으로 남겼는지를 나타내는 비율이다. 즉, “가계의 소득 중 남는 여유”를 보여주는 핵심 지표로, 가계의 재정 건전성과 경제의 소비 여력을 동시에 읽을 수 있는 통계적 창이다. Ⅰ. 정의와 계산 방식 가계 순저축률은 다음과 같이 계산된다. 가계 순저축률 (%) = (가계 순저축 … 더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