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ITDA 대 매출액 (EBITDA Margin, 상각전영업이익률)
‘EBITDA 대 매출액 비율(EBITDA Margin)’은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평가하는 핵심 수익성 지표로, 매출액 대비 감가상각비 차감 전 영업이익(EBITDA: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의 비율을 의미한다. 즉, 기업이 본업을 통해 발생시킨 현금성 이익이 전체 매출에서 어느 정도를 차지하는지를 보여주는 지표다.
Ⅰ. 통계·재무에서의 정의
한국은행 기업경영분석과 금융감독원 공시기준에 따르면, EBITDA 대 매출액은 “감가상각비와 무형자산상각비를 제외한 영업이익(EBITDA)을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을 의미한다. 이는 기업의 현금 창출력과 영업활동의 지속가능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활용된다.
EBITDA 대 매출액 = EBITDA ÷ 매출액 × 100
여기서 EBITDA(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는 영업이익(EBIT)에 감가상각비(Depreciation)와 무형자산상각비(Amortization)를 더한 값이다. 따라서 회계적 조정 요소를 제거한 ‘현금 흐름 중심의 영업이익’을 반영한다.
Ⅱ. 경제적 의미와 활용
EBITDA 대 매출액은 기업이 영업활동을 통해 발생시킨 현금성 수익이 전체 매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나타낸다. 이 비율이 높을수록 기업의 본원적 수익성과 현금 창출 능력이 우수하다는 뜻이다. 반대로 낮다면, 감가상각비가 과다하거나 영업비용 구조가 비효율적일 수 있다.
특히 제조업이나 설비투자 비중이 높은 산업에서는 EBIT보다 EBITDA 지표가 기업의 ‘실질적인 영업 체력’을 보여주는 데 유용하다. 금융기관, 투자자, 신용평가기관은 EBITDA 마진을 기업의 재무 건전성과 부채상환능력을 평가하는 주요 지표로 활용한다.
Ⅲ. 관련 지표와의 차이
- EBIT 대 매출액 (EBIT Margin) – 감가상각 전 영업이익을 반영하지 않은 순수 영업이익 기준 비율.
- 영업이익률 (Operating Profit Margin) – 회계상 EBIT과 동일하며, 비현금성 비용은 반영됨.
- 순이익률 (Net Profit Margin) – 이자비용·세금 등을 모두 반영한 최종 이익률로, 영업 외 요소 포함.
Ⅳ. 주요 활용 예시
EBITDA 마진은 기업의 현금 창출 능력을 중심으로 한 수익성 평가 지표다. 투자 분석에서는 ‘영업활동 현금흐름률’과 함께 기업의 내재가치 산정 및 EV/EBITDA(기업가치배수) 평가에 활용된다. 또한 산업별 설비투자 규모나 자산 효율성을 비교할 때 핵심 기준으로 사용된다.
EBITDA 마진은 회계상의 이익이 아닌, 기업이 실제로 벌어들이는 ‘현금의 힘’을 보여주는 지표다. 숫자는 단순하지만 그 안에는 기업의 미래 투자 여력과 지속가능한 성장의 토대가 담겨 있다.